2014년 10월 15일 수요일

수니파 vs 시아파

이슬람 공동체는 632년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지명하지 않고 숨지자 그의 친구인 아부 바크르를 지도자로 삼아 칼리프(Caliph)라고 불렀다. 칼리프는 무함마드를 잇는 ‘계승자’라는 의미로, 이슬람의 종교 지도자이면서 정치적 지배자 역할을 하였다. 2대 칼리프 우마르는 비잔틴 제국의 반격을 물리치고 이슬람 세계를 확장했고, 3대 칼리프 우스만은 이슬람 경전인 ‘꾸란’을 정리했다. 4대 칼리프는 무함마드의 사촌동생이며 무함마드의 딸 파티마의 남편인 알리였다. 이에 제3대 칼리프 우스만이 속한 우마이야 가문이 반란을 일으켜 661년 알리를 암살하고 시리아 총독 무아위야가 칼리프가 되어 다마스쿠스에 도읍을 정하고 칼리프 자리를 우마이야 가문에서 물려받도록 하여 우마이야 왕조를 세웠다.

무함마드의 순나(관행·범례)를 따르는 사람들을 뜻하는 수니(Sunni)는 협의를 통해 선출된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4명의 칼리프를 합법적 후계자로 인정했다. 반면에 알리 시절 생겨난 시아(Shiah)는 ‘분파’라는 뜻으로 무함마드 일족이 칼리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후계자를 이맘(Imam)으로 부르며 칼리프와 구별했다. 시아파는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만을 유일한 후계자로 인정했다. 681년 알리의 차남 후세인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역시 암살당하면서 수니파에 대한 시아파의 원한은 커져갔다.
우마이야 왕조는 아랍어를 공용어로 하고 화폐를 통일했다. 서쪽으로 크리스트교 국가들과 대립하며 이베리아 반도까지 영토를 확장하였으나, 투르·푸르티에 전투에서 패배하여 피레네 산맥 남쪽으로 물러났다. 우마이야 왕조의 아랍인 우월주의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이란 지역으로 도피해있던 시아파를 등에 업고 군사를 일으켜 우마이야 왕조를 멸망시키고 아바스 왕조를 세웠다(750).


수니파
시아파
경전
꾸란
지도자
자격이 있는 사람들 가운데 선출
무함마드의 자손만이 후계자
이맘
(이슬람 교단
지도자)
종교 집회를 인도하는 사람
+ 무함마드의 승계자이자 절대적 권위를 갖는 최고 성직자
기도 방식
가슴이나 배에 손을 엇갈려 얹은 채 기도
손을 옆구리 옆에 두고 기도
분포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다수파
전체 이슬람교도의 20%(수적 열세)
왕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집트, 예멘, 레바논,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 대부분 국가에서 다수 종파
이란과 이라크 등에서만 다수 종파
종주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시아파가 정국주도권을 잡아온 이란(중동의 유일한 시아파 국가)과는 달리, 이라크는 시아파가 다수 종파임에도 사담 후세인 정권처럼 수니파가 줄곧 정권을 잡으면서 시아파가 박해를 받았다.
이란은 지정학적 고립을 타개하기 위해 시리아를 통해 레바논의 헤즈볼라를 지원하고, 친서방 성향의 온건 수니파 중동국가들과 대립해 왔다. 이슬람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도 계속해서 세를 불리고 있다. 이 모든 것이 1400여년에 걸친 수니파와 시아파간의 대립과 계파 간 권력다툼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세계정책에 의해 한반도의 정세는 항상 중동 사태과 맞물려서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도 상기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