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9일 화요일

4.19 민주묘지 씨순길

현충일 아침… 4호선 길음역 3번 출구로 나와 08-124 정류장에서 대진여객 110B번 버스를 타고 정릉북한산국립공원입구(08-347)에서 하차하여 유월의 씨순길을 시작했다. 북한산둘레길 4구간 솔샘길, 3구간 흰구름길, 2구간 순례길… 이렇게 3개 코스에 걸쳐 약 8㎞를 걸었는데, 북한산둘레길 코스 중 가장 난도가 낮은 구간인 듯하다.


성북생태체험관과 빨래골을 경유하여 12m에 달하는 4층짜리 구름전망대에 올라갔는데… 북한산, 도봉산, 불암산, 수락산, 용마산에 서울 동북권 도심의 모습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삼각산(三角山) 동남쪽 칼바위능선 끝자락에 화계사(華溪寺)가 터잡고 있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범종각(梵鐘閣)이 보이고 왼편으로 거대한 대적광전(大寂光殿)이 들어서 있다.


범종각 천장에는 의식에 쓰이는 범종, 법고, 운판, 목어의 불구사물이 걸려있다. 범종(梵鐘)은 땅 속(지옥)에 있는 중생들을 위하여, 쇠가죽으로 만든 법고(法鼓)는 길짐승들을 위하여, 나무를 깎아 속을 비운 목어(木魚)는 수중생물을 위하여, 구름 모양의 청동 운판(雲板)은 날짐승들을 위하여 치는데… 이는 세상 모든 중생들에게 부처의 범음을 들려주어 생사윤회의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세계로 인도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새벽과 저녁에 각기 33번과 28번을 친다는 범종(보물 제11-5호), 수소가죽과 암소가죽으로 음양이 조화된 소리를 내기 위한 법고, 잠을 잘 때에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처럼 쉼없이 정진하라는 목어의 조성원리가 오묘하다. 숙종 9년(1683)에 사인비구(思印比邱)가 제작한 화계사 동종은 보물 제11-5호로 지정돼 있다.


범종각 뒤편으로 정면3칸, 측면2칸 맞배지붕 형태의 명부전(冥府殿)이 있다. 저승의 심판관인 시왕을 모셨다 하여 시왕전(十王殿), 지장보살이 주불이기에 지장전(地藏殿)이라 부르기도 하는 곳이다. 현판과 주련은 흥선대원군의 친필이라 하는데, 특히 궁궐에서 보아온 드므가 놓여 있어 시선을 끈다.


정면3칸, 측면3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형태의 대웅전은 화계사의 중심 법당으로 1870년에 흥선대원군의 시주를 받아 지어졌다. 특이하게도 아미타불이 주불이다.


본래는 산신각에 산신(山神), 칠성각에 칠성(七星), 독성각에 독성(獨聖·나반존자)을 따로 모시는데, 이들을 한꺼번에 모시면서 이름도 삼성각(三聖閣)이라 합쳐 부르는 경우가 있다. 화계사 삼성각은 정면3칸 측면2칸의 팔작지붕으로 동기와를 얹었다.


화계사에는 수령 449년 된 느티나무가 2그루 있는데, 사진은 수고 20.5m, 둘레 3.36m 짜리로 냇가에 서있는 보호수이다.



이날 따라 시간이 되지 않아 유영봉안소와 4·19혁명기념관에는 들르지 못하고, 기념탑 앞에서 묵념하는 것으로 씨순길 일정을 마쳤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