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6일 목요일

박지원, 법고창신의 기풍을 외치다

박지원(朴趾源)은 조부가 우의정까지 지낸 노론 가문 출신으로 16세에 장가를 들면서 장인과 처삼촌(이군문)으로부터 늦게 학문을 배웠다. 1770년(영조46) 34세에 시험 삼아 응시한 초시에 장원을 하여 영조를 알현한 이후 시험 감독관들의 주목을 받았으나, 각박한 벼슬살이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이후에는 과거를 보지 않았고, 억지로 권해서 본 과거에서도 답안을 제출하지 않았다. 박지원이 과거를 포기하자 영조의 총애를 얻기 위해 알랑대던 소인배들의 발길이 끊기고 대신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이서구, 홍대용 등 대부분 서얼 출신들과 신분적 차별의식 없이 교우하여 이른바 ‘백탑파’를 형성한다.

40세 되던 해 정조가 즉위하면서, 세손 시절의 정조를 비호하던 홍국영을 비판했던 과거사로 인하여 결국 황해도 금천 연암골로 9년 남짓 피신하여 살았다. 이로부터 그의 호 연암(燕巖)이 유래한다. 「김신선전」에 묘사한 것처럼 연암은 일찍이 우울증이 있었다.

43세인 1780년(정조4) 박지원은 건륭제의 고희를 축하하는 사절단으로 8촌형 박명원을 따라들어가 연경 및 열하 등지에서 많은 것을 보고 대표작 『열하일기』(熱河日記)를 내놓았다. 『열하일기』의 액자 형식으로 들어가 있는 소설 「허생전」을 통해 박지원은 생산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조선의 유통구조의 문제점을 비판한다.

50세에 이르러서야 조부의 문음을 통해 낮은 벼슬로 관계에 진출하였고, 55세에 한성판관을 거쳐 안의현감(경상도 함양), 61세에 면천군수(충청도)를 지내면서 백성 위에 군림하는 수령이 아니라 농사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실현해 보는 등 진지한 목민관의 역할을 실천한다. 토지 소유를 한정함으로써 부의 균등한 분배를 주장한 한전제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토지 소유의 상한선을 밝히지 않았고, 기존의 대토지 소유를 인정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면천군수 재임 시절에 비어나 속어 같은 자유로운 표현을 사용하는 박지원의 글을 모방하는 것이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하여 그 영향을 받는 것을 두려워한 보수 지배층이 박지원의 문체를 비난하고 그를 벌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에 정조가 전통적인 문체로 글을 지어 올리라는 벌(문체반정)을 내리면서 사실상 박지원을 감싸준다. 박지원은 “너무 큰 죄를 지어서 반성한다고 될 것 같지 않다”는 투의 모호한 반성문을 작성했다.

박지원은 상고(尙古)의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의 언어와 문장을 통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할 것을 주장하였지만, 그 역시 유학자였기에 상도(常道; 인간으로서의 도리)에 맞는 내용을 갗춰야 함을 역설하는데, 이것이 옛 것(상도)를 본받되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는 이른바 법고창신(法古創新)이다.

박지원은 새로운 문체를 사용한 소설을 통해서 기층 백성과 사회적으로 차별받고 소외받는 이들의 소박한 삶과 아픔을 대변하고, 지배층의 위선과 허위의식을 비판했다. 「예덕선생전」·「양반전」·「열녀함양박씨전」 등을 통해 그가 새로운 문체를 가지고 작성한 소설로 말하고자 한 바가 무엇인지 추론해 보고, 그의 눈을 빌어 우리 사회를 심도있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 신분이나 지위에 따르는 차별은 없는가?
○ 사회정책이 국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방향에서 시행되는가?
  ㆍ기존의 방식을 고수한다면 그 방식에는 어떠한 가치가 담겨 있는가?
  ㆍ그러한 가치를 우리는 ‘상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인가?
○ 그리고 새로운 것은 ‘상도’를 표현하고 있는가?
○ 기존의 도덕률에 얽매여 인간들의 취향을 재단하지는 않는가?

- 구태환 상지대 교수, “우리시대는 어떤 목민관을 원하는가” 제4강 요약정리

댓글 1개:

  1.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 穢: 더러울 예
    분례기(糞禮記) ⇒ 糞: 똥 분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