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자 표기법은 외국인이 국어의 고유명사를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한 표기 원칙이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울릉도 Ulleungdo
헌릉(獻陵) Heolleung ⇒ 제3대 태종(1367~1422)과 원비 원경왕후(1365~1420) 민 씨의 쌍릉
인릉(仁陵) Illeung ⇒ 제23대 순조(1790~1834)와 순원왕후(1789~1857) 김 씨의 합장릉
선릉(宣陵) Seolleung ⇒ 제9대 성종(1457~1494)과 계비 정현왕후(1462~1530) 윤 씨의 동원이강릉
원릉(元陵) Wolleung ⇒ 제21대 영조(1694~1776)와 계비 정순왕후 김 씨(1745~1805)의 쌍릉
한라산 [할라산] Hallasan
대관령 [대괄령] Daegwallyeong
마천령 [마철령] Macheollyeong
한려수도(閑麗水道) Hallyeosudo
신륵사(神勒寺) [실륵싸] Silleuksa
곤리도(昆里島) [골리도] Gollido
불로봉 Bullobong
빌레못 Billemot ⇒ 단일동굴로서 세계최장(11,749m)
전라북도 Jeollabuk-do
신라 [실라] Silla
신림 [실림] Sillim
한림 Hallim
산림청(山林廳) sallimcheong
천룡(天龍) Cheollyong
천리포(千里脯) Cheollipo
물약 [물냑→물략] mullyak
알약 [알략] allyak
월내(月乃) [월래] Wollae ⇒ 여성머리장식용품
별내 [별래] Byeollae ⇒ 별비면 + 내동면
문래동(文來洞) [물래동] Mullaedong
물레방아 mullebanga
올레길 ollegil
진달래 jindallae
갈래 gallae
걸레 geolle
벌레 beolle
빨래판 ppallaepan
실례 sillye
판례((判例) [팔례] pallye
판로(販路) [팔로] pallo
결로(結露) gyeollo
고질라 Godzilla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구체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울릉도 Ulleungdo
헌릉(獻陵) Heolleung ⇒ 제3대 태종(1367~1422)과 원비 원경왕후(1365~1420) 민 씨의 쌍릉
인릉(仁陵) Illeung ⇒ 제23대 순조(1790~1834)와 순원왕후(1789~1857) 김 씨의 합장릉
선릉(宣陵) Seolleung ⇒ 제9대 성종(1457~1494)과 계비 정현왕후(1462~1530) 윤 씨의 동원이강릉
원릉(元陵) Wolleung ⇒ 제21대 영조(1694~1776)와 계비 정순왕후 김 씨(1745~1805)의 쌍릉
한라산 [할라산] Hallasan
대관령 [대괄령] Daegwallyeong
마천령 [마철령] Macheollyeong
한려수도(閑麗水道) Hallyeosudo
신륵사(神勒寺) [실륵싸] Silleuksa
곤리도(昆里島) [골리도] Gollido
불로봉 Bullobong
빌레못 Billemot ⇒ 단일동굴로서 세계최장(11,749m)
전라북도 Jeollabuk-do
신라 [실라] Silla
신림 [실림] Sillim
한림 Hallim
산림청(山林廳) sallimcheong
천룡(天龍) Cheollyong
천리포(千里脯) Cheollipo
물약 [물냑→물략] mullyak
알약 [알략] allyak
월내(月乃) [월래] Wollae ⇒ 여성머리장식용품
별내 [별래] Byeollae ⇒ 별비면 + 내동면
문래동(文來洞) [물래동] Mullaedong
물레방아 mullebanga
올레길 ollegil
진달래 jindallae
갈래 gallae
걸레 geolle
벌레 beolle
빨래판 ppallaepan
실례 sillye
판례((判例) [팔례] pallye
판로(販路) [팔로] pallo
결로(結露) gyeollo
고질라 Godzi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