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2월 11일 목요일

한문 학습의 필요성

제64차 평생교육사 목요회(2014.12.4)는 ‘한문학습의 필요성’ 강의로 진행되었다.
현직 고교 한문교사인 후말(後末) 김경진 선생님에 따르면 한자·한문교육은 우리의 과거이자 현재이며 나아가 미래를 답보하는 한가지 방법이 된다. 때문에 학교 수업시간에 아이들에게 한문공부의 필요성을 이해시키기 위해 몇가지 방법을 동원하는데… 자전(字典) 찾는 방법을 숙지시키고, 호(號) 짓는 방법도 알려주면 아이들이 재미있게 한문학습에 친숙해진다고 한다.
목요회 강의에서도 호(號)와 그에 관련된 흥미있는 사례가 소개되었다.

号 + 虎(범 호) : 범(虎)의 울음소리처럼 이름을 우렁차게 부르짖으니(号) 이름 호(號), 부르짖을 호.
사람이 본 이름(本名)이나 자(字) 이외에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인 호(號)는 자신이 짓기도 하고, 남이 지어 부르기도 했다. 이규보(李奎報)는 「백운거사어록」(白雲居士語錄)에서 호를 짓는 4가지 방법을 언급하였는데… 거하거나 인연 있는 장소로 호를 삼는 소이호(所處以號), 이루고자 하는 뜻으로 호를 삼는 소이호(所志以號), 처한 환경·여건을 호로 삼는 소이호(所遇以號), 좋아하거나 간직하는 것으로 호를 삼는 소이호(所蓄以號)가 그것이다.
아호(雅號)는 시·문·서·화의 작가들이 사용하는 우아한 이름이라는 의미이고, 별호(別號)는 본 이름 이외의 이름이라는 뜻으로 보통 다른 사람이 그 사람의 성격이나 용모 또는 특징을 따서 지어 부르는 별명과 같은 것이다.
당호(堂號)는 ‘당우(正堂과 屋宇)의 호’를 말함이나, 이것이 그 집에 머무는 사람을 일컫게도 된 것이다. 김시습의 매월당, 신인선의 사임당, 정약용의 여유당 등이 있다. 택호(宅號)는 어떤 이름 있는 사람의 가옥 위치를 그 사람의 호로 부르는 것으로 ○○대감댁·김선생님댁 등으로 불렀으며, 출가한 여인에게는 친정의 지명을 붙여 나주댁·하동댁·전주댁·강릉댁 등으로 불렀다.
시호(諡號)란 벼슬한 사람이나 관직에 있던 사람이 죽은 뒤에 그 행적에 따라 왕(王)으로부터 받은 이름을 말한다.
김정희(金正喜)는 추사(秋史) 등 무려 503개 호가 있었다고 한다.


무작정 따라갈 이유는 없지만 강남구에 소재한 초등학교에서는 강남교육지원청의 지도 아래 이미 2008년부터 한자를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한자는 보다 풍부한 한국어를 구사하기 위한 기본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 어휘의 70% 이상이 한자어이고, 학문언어 영역으로 옮겨가면 90%가 한자어이다. 때문에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고선 온전한 학습을 이루어 나가기가 힘들다.
한글 어휘를 빼고 한자만 적는 혼용(混用)에는 반대하지만, 교과서의 주요 어휘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倂記)하는 것은 고려해볼만한 가치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