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월 23일 월요일

공민왕은 고려의 마지막 왕?

KBS 시사교양 프로그램 〈역사저널 그날〉… 별다른 약속이 없는 일요일 밤이면 관심있게 시청하곤 한다. 요사이엔 기획특집으로 ‘드라마 속 역사인물’ 시리즈를 방송하는데 김춘추, 궁예에 이어 어제(3월 22일) 66회는 ‘개혁과 욕망 사이’라는 부제로 드라마 〈정도전〉 속 공민왕을 탐색해보는 시간이었다.
왕이 죽은 뒤에 신하들이 올리는 이름인 묘호(廟號)와 왕이 죽은 뒤에 중국의 황제가 내려준 이름인 시호(諡號)를 구분하고, 공민(恭愍)이란 것은 명(明)으로부터 받은 시호였으며, 왕위계승서열에 밀려 3수 끝에 조카인 충정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은 사연이라든가 하는 유익한 내용도 습득했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부분도 여지없이 방출됐다.


초반부에 최원정 아나가 “왜 공민왕은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인식되나?”라는 발제를 하고 여기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실제로 공민왕은 고려의 마지막 왕입니다. 공민왕 뒤에 우왕과 창왕이 있었는데 폐위됐죠. 공양왕은 양위를 한 것이고요.”라는 서울시립대 이익주 교수의 답변이 나왔다. 엥?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린가?? 비록 이성계 일파에 의해 폐위되고 선위했지만, 31대 공민왕 뒤에도 엄연히 우왕, 창왕, 공양왕의 세 임금님이 왕위에 있었다(이성계를 35대 고려국왕으로 셈한다면 4명).
이교수의 논리대로라면 조선의 고종과 순종도 일제의 파워에 의해 퇴위를 당했으니, 25대 철종이 조선의 마지막 왕이어야 하겠네. 이렇게 되면 1863년 고종 즉위부터 강제 병합당한 1910년까지의 조선국과, 공민왕 사후 1374년부터 1392년까지의 고려국은 각각 47년과 18년 동안 왕좌를 지킨 임금이 없게 된다.
승자의 입장에서 조선 초기에 편찬된 “〈고려사〉에서는 공민왕을 고려의 마지막 왕으로 기록”했다는 맥락 정도로 소개하면서 역사 속 사실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화두를 생각케 해야지, 국사학과 교수라는 분이 무책임하게 지상파 공영방송 채널에서 “공민왕은 고려의 마지막 왕”이라고 단정지어 말해버리면 어쩌란 말인지…ㅉㅉ… 당장 초등 5학년 역사 쪽지시험에 고려의 마지막 왕은 누구일까요?라는 문제라도 나올라치면 아이들이 답안에 죄다 공민왕이라고 적어내는 상황… 생각해 봤는지…
요컨대 방송에서 90학번인 이윤석씨가 소개한 “공민왕은 고민이 많은 왕, 그래서 그 뒤로 우왕 좌왕(창왕)하다가 공손하게 양보(공양왕)했다.”는 학창시절 청킹(chunking) 문구는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