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서울사업단(에이럭스 컨소시엄) 온라인 종무식을 끝으로 전국민 디지털역량교육 2021년 활동이 종료됐다.
스마트폰 교육은 폰마다 기종과 버전이 제각각이고 그에 따라 버튼 위치, 켜고 끄는 방법, 로그인 방법, 자판 등 가장 기초적인 것들이 달라서 어려움이 많았다. 그래서 보조강사와 함께 인내심을 갖고 장시간 꾸준히 반복적으로 교육했다. 그리고 반드시 학습자들이 구글 아이디와 패스워드, 아이튠즈 아이디를 확보하고, 기초적인 기호를 익히도록 이끌어야 했다. 이런 것들은 앱 설치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본인 인증(문자 or Pass 인증)에 필수 점검 사항이기 때문이다.
올해 내가 담당한 학습자들은 주로 60대 이상의 비문해 여성 노년층이었다. 노년엔 아무래도 기억력이 떨어지고 건강문제가 발생한다. 경쟁하는 것을 꺼려하고 (다른 하는 일이 많아 우선순위에서 밀려) 쉽게 포기하며, (학습경험이 없거나 부족하여서) 뭔가 새로 시작하는 것을 두려워하게 된다. 특히 비문해자일 경우엔 그 사실이 알려지는 것을 싫어한다.
지난 7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제3차 성인문해능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의 약 4.5%인 200만명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읽기, 쓰기, 셈하기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해능력 ‘수준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기본적인 읽기와 쓰기, 셈하기는 가능하지만 일상생활에 활용하기엔 미흡한 ‘수준2’는 185만여명으로 조사됐으며, 단순 일상생활에서는 불편함이 없지만 공공, 경제생활에서는 어려움이 있는 ‘수준3’은 약 503만명으로 파악됐다. 중학 학력 이상의 충분한 문해력을 갖춘 ‘수준4’ 인구는 3,518만명으로 2017년 조사 때보다 2.2%P 상승했다. 성인 문해력은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나 학력이 낮을수록 농산어촌에 거주할수록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요컨대 학력과 소득에 따라 문해력 격차가 큰 것이다.
문자를 깨치는 것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생존과 인간다운 삶을 위해 꼭 필요하다. 디지털 분야 역시 같은 맥락이다. 디지털교육은 문해교육의 연장이다. 한글을 배운 다음 디지털이 아니라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 디지털 소외계층은 대부분 자동화기기 사용 경험이 없는데 이는 생존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삼성전자 측에 요청한다. 장애인이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갤럭시폰을 애플 아이폰만큼 또는 그 이상으로 장애인 접근성을 강화해주길 바란다. 장애인에 대한 세심한 배려는 당신들이 내세우는 ‘사회공헌’에 가장 부합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공공시설에 설치된 자동화기기는 장애인 등 디지털 소외계층의 이용 편의를 위해 화면이나 버튼 위치 등 형태와 기능을 통일해 주면 좋겠다.
C19 상황에서도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집합교육을 이어왔다. 개인 사정으로 전일제나 반일제가 아닌 시간제 강사로 활동했는데 사업단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실적을 달성하는 것이 꽤 버거웠다.
강사의 부족한 부분을 섬세히 채워준 서포터즈 오유선 선생님께 고마움을 전합니다. 그리고 오히려 미안해하며 열심히 따라와 주신 모든 학습자 어르신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어르신들, 우리 생활의 ‘결’ 자체가 달라졌어요. 이전에는 몰라도 괜찮았지만 알면 좋았던 것들이 모르면 안 되는 것으로 바뀌었어요. 이전에는 안 해도 괜찮았지만 하면 좋았던 것들이 안 하면 안 되는 것들이 되었어요. 갑갑할 때 요청하시면 도와드릴게요. 무엇보다 건강 유의하시고 겁내지 않기로 한 약속들 꼭 지켜나가셔요. 소생에게도 교학상장의 시간이었음을 수줍게 고백합니다. 고맙습니다.
2021년 12월 29일 수요일
2021 전국민 디지털역량강화 서울사업단 종무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