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29일 일요일

관요(官窯)에서 제작한 조선왕실 태항아리

목요일날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조선왕실 태항아리’ 특강을 청강했다.
물론 민간에서도 태(胎)를 귀히 여겨 봉안하기는 했지만 왕조시대 왕실의 왕자와 왕녀들에 비길 수는 없을 터.
건국대 신병주 교수와 경기도자박물관 김경중 학예연구사 등의 강연 내용은 흥미로웠다.

출산 3일째에 태를 깨끗이 씻어 태옹(胎瓮)이라 칭하는 항아리에 봉안한다. 태를 넣은 이 항아리를 보다 큰 항아리에 넣었는데, 태는 결국 2개의 항아리에 보관되는 셈이다.
태항아리는 풍수지리 사상에 따라 길지(吉地)에 봉안했는데 이를 안태(安胎) 또는 장태(藏胎)라 한다. 50~100m 사이의 야트막한 산봉우리에 석실을 조성하고 태항아리를 묻었는데, 이 태실(胎室)이 위치한 곳이 태봉(胎峰)이다. 태봉에는 수호군사를 두어 관리했다.
지금도 경기도 연천군 죽면, 가평군 상면, 강원도 원주시, 경북 울진군 북면, 구미시 옥석면, 성주군 월항면, 경남 창원시 진동면, 양산시 원동면, 하동군 후천면, 부산 북구, 충남 서산시 운봉면, 금산군 추부면,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전북 익산시 삼기면, 완주군 구이면 등 ‘태봉’과 관련한 지명들이 다수 존재한다.


조선왕실에서 소용된 태항아리는 세조 13년(1467) 경기도 광주에 사옹원 분원 관요(官窯)가 설치된 후에는 분원에서 전담하여 제작하였다. 태항아리의 제작 연대는 굽 안바닥에 새겨진 명문(銘文)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백은경 학예연구사가 소개한 뚜껑 3개짜리 태항아리가 특히 흥미로웠다. 예종(세조 2남)과 성종(덕종 2남), 인성대군(예종 장남)의 태항리가 그것들이다. 성종의 경우 ‘5961’번으로 관리된 백자 외항아리는 국립민속박물관이, 별도로 제작된 뚜껑은 국립중앙박물관이, 내항아리와 태지석은 국립고궁박물관이 별도로 소장하고 있다. 임란 시 왜군에 의해 파헤쳐져 시신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선릉(宣陵)까지… 9대 임금 성종(成宗)의 수난사는 계속된다.

주로 삼남지방에 집중되어 있던 태실은 일제강점기인 1930년 4월부터 서삼릉 경내로 옮겨졌다. 이는 조선왕실과 백성들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버리고 식민통치를 더욱 강화하려는 일제의 정치적 의도가 작동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태를 묻은 태항아리는 국보급 문화재였기 때문에 상당수가 도굴을 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