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8월 31일 화요일

미국, 러시아, 중국, 북한의 소총


군대 담론.... 얼마 전 EBS 인기 국어강사 장희민씨의 동영상 강의 때 나온 발언으로 또한번 크게 이슈가 됐었다.
젊은층의 언어변화를 설명하면서 남자는 주로 비표준형을 만들고, 여자들은 주로 표준형을 만든다면서 곁들인 말이....

“남자들은 폭력적이고 좋지 않아요. 남자들은 군대 갔다왔다고 좋아하죠. 자기 군대 갔다왔다고 뭐 해달라고 맨날 떼쓰잖아요. 그걸 알아야죠. 군대 가서 뭐 배우고 와요. 죽이는 거 배워오죠. 여자들이 그렇게 힘들게 낳아 놓으면 걔넨 죽이는 거 배워오잖아요. 뭘 잘했다는 거죠. 도대체가? 자, 뭘 지키겠다는 거죠. 죽이면서. 그냥 처음부터 그런 거 안 배웠으면 세상은 평화로와요........ 너무 남존여비가 거꾸로 가고 있죠.”

였다.
논란의 여지가 있는 다른 내용은 다 집어치우고, 육군 병장으로 만기 제대한 입장에서 보면 말인즉슨 군대에서 죽이는 기술을 배운다는 것 자체는 맞는 말이다. 그게 군대라고 하는 조직의 존재 이유니까. 007식으로 얘기하자면 일종의 ‘살인면허’ 같은 거 아닌가.
비근한 예로 총검술을 배우는 과정에서 구령에 따라 열심히 “찔러총”을 해대고 있는 나에게 교관이 그러더라구. 그냥 단순히 앞으로만 찔러대서는 타격을 주지 못한다. 시계방향으로 약간 돌리듯이 하면서 찔러야 깊숙하게 박히면서 뽀다구도 난다구.... 헐~~

감히 ‘군대’ 라는 성역을 건드렸다는 이유로 나이브한 발상의 그 강사가 비난받아야 한다면, 국기에 대한 경례 하나 제대로 못하는 영부인에게도 마찬가지의 비난이 있어야 하지 않겠나. 대통령, 국회의원 등등 소위 파워 엘리트 계층에 속하는 자들은 병력이 모자란다고 떠들어 대면서 정작 본인과 자식들은 왜 그 ‘성역’에 입성하지 않는가. 고매하게도 사람 죽이는 기술 배우기를 거부해서인가. 군복입고 훈장차고 썬글라스 쓰고 LPG 가스통 들고 위협적으로 시위하는 투사 아저씨들.... 왜 청와대와 국회 앞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나.
문제는 역시나 텍스트와 콘텍스트의 문제로 환원된다.


‘소총’ 하면 금방 떠오르는 것이 M16, K2 인데.... 찾아보니 세계 각국에서 엄청나게 많은 개인화기를 자체 개발해 놓고 있더군. 지면이 좁은 관계로 미국, 러시아, 중국, 이란, 이라크, 북한의 소총 몇자루만 소개해 본다.


미국 소총




러시아 소총




중국 소총




이란 소총




이라크 소총




북한 소총



북한의 소총은 크게 PPSH계열과 AK계열로 분리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사용된 ‘PPSH-41’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의 주요 개인화기로 AK계열 출현 전까지 사용됐다. 한국전쟁 당시 소련의 지원을 받아 북한군 개인화기로 사용한 덕분에 6·25 배경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고 ‘따발총’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PPSH-41 후속 모델로 생산된 ‘PPSH-43’은 소련에서 개발돼 60년대 북한군이 주로 사용했다. 특히 68년 1월 21일 청와대 습격사건 당시 침투 공비들이 휴대했다. 총열집에 7개의 구멍을 뚫어 공기 냉각이 편리하도록 설계됐는데 분당 650발의 사격이 가능하고 탄알을 장전했을 때 무게는 3.93㎏이다.

‘58식 자동보총’이 도입되면서 북한의 주력 소총은 PPSH계열에서 AK(Automat Kalanishkov)계열로 전환된다. 북한군은 소련에서 개발된 AK-47 소총을 도입해 주력화기로 제작했는데 58년과 68년에 생산돼 각각 ‘58식·68식 자동보총’으로 명명됐다.

총 몸체 왼쪽에 숫자와 한글로 58식·68식으로 각각 표기돼 있고 조정간에는 ‘단·련’이 한글로 표기돼 있다. 북한은 ‘소총’이란 용어 대신 보병이 사용한다 해서 ‘보총’이라는 용어를 붙였다.

AK소총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소련 침공을 계기로 독일군의 우수한 개인화기였던 MP-40을 제압할 수 있는 돌격용 소총을 연구하던 소련 전차부대 부사관 칼라니쉬코브가 설계, 제작했다.

소련의 기존 주력화기였던 시모노브소총(10발 내부장착 탄창)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20·30발 분리형 탄창이 장착됐다. 조작방법이 간단한 데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고장이 없는 장점 덕분에 47년 최초로 개발된 이후 소련의 영향권 아래 있던 공산권 국가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됐다.

특히 일교차가 심하고 모래 바람이 많은 아랍권을 비롯한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사용됐다. 현재 우리 우방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AK소총의 변종 형식을 취한 자체 개발 총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7.62×39㎜ 탄을 사용하는 58·68식과 달리 5.45×39㎜ 탄을 사용하는 AK-74(북한의 경우 88식 자동보총)가 제작돼 신형 대체 총기로 확산되고 있다. AK소총은 아카보소총·돌격소총·칼라니쉬코브 소총·7.62㎜ 소총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