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30일 월요일

2024 평화통일교육 활성화 위한 워크숍 참가

경기평교협, 2024 평화통일교육 활성화 위한 워크숍 열어

평화통일교육 사례 공유, 활성화 방안 모색


경기도평화통일교육단체협의회(회장 이바다)는 9월 28일(토), 29일(일) 양일간 파주시 홍원연수원에서 「2024년 평화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


28일(토) 첫날에는 1, 2, 3부로 나눠 평화통일교육과 관련한 최근 동향을 전달하고 공유했다.


1부 1섹션에서 강연에 나선 김성우 교수(한림대 미래융합스쿨)는 ‘AI기반의 통일교육 사례분석’을 발표했다. 김 교수는 △식상한 소재의 사용을 배제하고 △개인이 아닌 팀의 협업을 중시하며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참신한 통일 포스터를 제작한 대학생 사례를 소개했다. 김 교수는 “당분간 아날로그식 물리적 통일이 어렵다면, 가상세계에 디지털 통일 한반도 국가부터 먼저 건국해 본다면 어떨까?”하는 상상을 해본다면서 “AI와 같은 혁신적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교안을 잘 설계하면 젊은 세대도 통일문제에 흥미를 느끼고 과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28일(토) 오후, 「2024년 평화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에서 김성우 교수가 ‘평화통일 포스터 디자인 공모전’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2섹션에서는 변학문 소장(겨레하나 평화연구센터)이 ‘기후위기 시대의 평화통일교육’에 대해 들려주었다. 변 소장은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북의 국정기조와 △기후위기에 대한 남북 공동대응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짚으면서 △전쟁을 종결하고 평화를 정착하는 것이 곧 기후정의의 실현임을 강조했다.


2부 순서에서 참여자들은 지역참여형, 토론형 평화교육 사례를 나누었다.


1섹션에서 김학규 소장(동작역사문화연구소)은 1950년 8월 ‘포항여중전투’를 배경으로 제작된 영화 「포화 속으로」(2010)의 실제 주인공인 동성중 출신의 ‘이우근 학도병’과 관련한 이야기를 소개했다. 

동작구 흑석동에 있는 학도의용병현충비가 6·25전쟁 때 전사한 학도의용병을 전쟁영웅으로만 부각하고 있는 것에 지역의 학생들이 문제의식을 가졌다. 경문고를 주축으로 한 학생들이 ‘이우근의 부치지 못한 편지 조형물’ 설치를 결의하고 1천여 학생·지역주민의 서명을 받아 2022년 11월, 서울시교육감(조희연)에게 청원서를 전달하고 모금운동을 벌였다. 1년 뒤인 2023년 11월 3일, 조형물 제막식이 열렸다. 하지만 행정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여태껏 정식으로 설치되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학도의용병 이슈지만, 시대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강조점이 바뀔 수 있다”고 소개한 김 소장의 사례발표에 워크숍 참여자들은 “청소년들이 이루어낸 의미 있는 성과”라며 박수를 보냈다.


<>28일(토) 오후, 「2024년 평화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에서 김학규 소장이 ‘이우근의 부치지 못한 편지 조형물 제작’ 사례를 발표하고 있다.


같은 시간, 2섹션에서는 이지혜 교사(미동초)가 ‘공존형 토론을 활용한 평화통일교육’ 사례를 발표했다. △내가 받은 통일수업(학창시절)과 △내가 가르쳐야 하는 통일수업(6학년)으로 서두를 연 이 교사는 △기존 통일수업의 미비점을 꺼내고 △초등학생들의 통일인식을 전해주며 맥락 없는 활동은 공감과 필요를 불러오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이 교사는 2022년 서울시교육청의 역지사지 공존형 토론수업 사례를 통해 △교실이라는 문화에서 △배울 것으로 기대되는 것 △토론상황에서 경험하는 것을 고려하여 수업 구성의 방향을 설정하고 수업 기반을 조성하면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사회현상과 학습 주체들을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다고 풀어나가 참여자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3부 시간에는 ‘앞으로의 평화통일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박미자 연구교수(성공회대)가 발제하였다. 박 교수는 미래교육의 본질을 언급하며 평화통일교육에서 우리가 △계속해야 할 일 △버려야 할 일 △새롭게 해야 할 일을 꼽으며 역상정의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박 교수는 현재 전국의 평화통일교육단체를 연결하는 평화통일교육전국네트워크 상임대표를 겸하고 있다.


계속해서 8개 소모둠으로 나누어 배정된 참여자들의 원탁토론회가 이어졌다.

각 모둠은 △전쟁반대, 평화감수성을 이야기할 수 있는 전국(지역)의 평화통일 기행장소 소개 △통일 관련 가짜뉴스의 사례 소개 △전국 또는 지역에서 일어나는 반평화, 반통일교육 사례 소개 △대전환의 시대에 맞는 새로운 평화통일교육 이슈 제안 등 4개 주제로 모둠토의를 갖고 발표하는 시간을 통해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무관심이 늘어나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통일인식을 제고할 새로운 교육콘텐츠를 탐구하였다.


<>28일(토) 저녁, 「2024년 평화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 참여자들이 4개 주제에 대한 원탁토론에 임하고 있다.


29일(일) 둘째 날에는 해병대 2사단이 관할하는 김포시 하성면의 애기봉평화생태공원을 견학하며 분단의 아픔과 불편함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분단의 폐해를 인지하게 할 새로운 교육콘텐츠를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29일(일) 오전, 「2024년 평화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 참여자들이 북한을 가장 가까이서 만날 수 있는 조강전망대에서 단체 촬영하고 있다.


부천대학교 평생교육원(원장 김형렬)과 함께 이번 워크숍을 주관한 경기도평화통일교육단체협의회 이바다 회장은 마무리 인사말을 통해 “어려워진 평화통일교육의 주·객관적 상황을 공유하고, 평화통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일에 계속해서 매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