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21일 금요일

천강에 비친 달

영릉의 원찰 봉미산 신륵사 경내 여강(驪江)변에 있는 강월헌은 보제존자 나옹(1320~1376)의 처소 이름이자 당호였다. 나옹(懶翁)은 지공(指空)선사에게 법을 받아 무학(無學)대사에게 전해주었다. 세 선승의 영정이 신륵사 조사당에 모셔져 있다. 나옹은 양주 회암사에서 밀양 형원사로 가는 도중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했다. 강월헌은 나옹화상의 다비(茶毘) 장소이며, 그 옆의 자그마한 3층석탑은 나옹화상이 입적한 곳이다.

신륵사 강월헌(江月軒) 현판에서 월인천강(月印千江) 네 글자를 떠올렸다. ‘月’은 석가모니를 ‘千江’은 중생(衆生)을 비유한 것이다. 부처가 백억 세계에 모습을 드러내 교화를 베푸는 것이 마치 달이 천개의 강에 비치는 것과 같다는 뜻이다. 천개의 강물에 천개의 달도장… 부처의 가르침이 모든 사람의 마음에 깃드는 것은 달리 말하면 모든 사람에게 불성(佛性)이 있다는 의미가 된다.

세종의 정비 소헌왕후 심씨가 중궁에 책봉된 1418년, 상왕 태종은 며느리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을 역모죄로 처형하고 어머니 안씨와 동생들을 관비로 만들어 외척의 발호를 원천 봉쇄했다. 1446년(세종28) 세종은 소헌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이듬해에 둘째 아들인 수양대군에게 명하여 석가모니의 일대기와 설법, 불교의 전래 과정 등을 담은 책을 펴내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한문 불경을 한글로 옮긴 최초의 사례이자 한글로 된 최초의 산문자료인 석보상절(釋譜詳節)이 탄생했다.

1447년(세종29) 세종이 완성된 석보상절을 열람하고 그 내용을 게송처럼 요약해서 찬불가 형식(악장)으로 지은 한글 최초의 시가집이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다. 세종은 숭유의 나라 조선에서 유교경전이 아닌 불교경전부터 한글로 옮긴 셈이다. 세종은 월인천강의 마음을 담아 친정이 멸문지화를 당하는 비극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내명부를 이끌고 왕비의 소임을 다한 소헌왕후의 공덕을 극진히 빌었을 것이다. 천강에 비친 달… 월인(月印)의 종교, 월인의 정치, 월인의 교육이 절실한 요즘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