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1일 금요일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문해교실에 들어서면 “한글도 제대로 모르는데 시를 우째 쓰노!”라며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을 대면하곤 한다. 하지만 늦깎이분들은 받아쓰기 신공을 꼭꼭 눌러 10성까지 익히고, 마침내는 80년 가까이 김치 담그고 손주 본 손이 벌벌 떨리며 진솔한 시구를 펼쳐낸다. 일갑자 반의 내공이 실린 심금의 출수다.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은 궁벽한 시골, 여성노인 문해학습자의 모습을 익살스러우면서도 실감나고 뭉클하게 잘 버무려 놓았다. 좀 안다고 하는 이들은 때때로 배움의 설렘을 잊고 무감각에 빠진다. 성찰할 일이다.


------------------------------------------

인생 팔십줄, 사는기 와이리 재민노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상연

http://www.k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82


19일(수) 저녁 7시 30분,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이 상연되었다. 

김하진 극본의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은 김재환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칠곡 가시나들」(2019)과 에세이 「오지게 재밌는 나이듦」(2020)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뮤지컬은 ‘팔복리’라는 가상의 마을을 배경으로 글을 읽고 쓰지 못하는 설움과 창피함 속에 평생을 살아온 70~80대 시골 할머니들이 글을 배우고 시를 쓰면서 인생의 의미를 되찾는 과정을 그렸다.

지금도 소녀 감성을 간직한 채 푸시킨의 시구를 읊조리는 김인순(75), 글을 몰라 노래자랑 프로그램에 지원조차 하지 못했던 양춘심(88), 한글을 배워 손주에게 동화책을 읽어주는 것이 소원인 반장 이영란(89), 문해학교의 귀염둥이 막내 이분한(72) 할머니가 문해학교 이가을 선생님의 가르침과 챙김으로 자기 삶의 주인이 되어가는 여정이 서울에서 내려온 프로듀서 지석구의 카메라에 담겨 재미와 감동을 선사했다.

<>19일 저녁,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상연된 뮤지컬 「오지게 재밌는 가시나들」 관객들이 응원봉을 흔들고 있다.

이날 공연은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2024년에 시행한 전국 성인문해교육 시화전과 연계하여 문해교육의 의미와 배움의 가치를 공유하고자 마련됐다.

22개 문해교육기관에서 10명씩 참석한 총 220명의 학습자와 관계자가 하늘극장 좌석을 가득 메우며 무대 위 배우들의 가슴 뭉클한 사연에 공감하였다.

한편, 뮤지컬의 실제 모델인 칠곡 할머니들이 쓴 시와 그림이 천재교과서의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에 실려 2025년 신학기에 선보일 예정이다.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2024학년도 서울시교육청 학력인정 문해교육 합동졸업식

학력인정 문해 만학도 570명, 초등·중학 졸업장 받아

서울시교육청, 2024학년도 학력인정 문해교육 합동졸업식 열어

http://www.k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474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12일 오후 교육청교육연수원 우면관에서 성인 문해교육 이수자를 위한 합동 졸업식을 열었다.

이번 졸업식은 시교육감이 설치·지정한 초·중학과정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 67곳에서 해당 과정을 마친 초등 427명, 중학 143명 등 총 570명이 함께하며 만학의 기쁨을 나누었다.

퓨전 국악밴드 ‘케이소리’의 흥겨운 우리가락으로 막을 올린 행사는 학력인정서 수여와 우수학습자 표창(26명)으로 이어졌다.

<>2월12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방배동 교육청교육연수원 우면관에서 열린 ‘2024학년도 초등·중학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식’에 참석한 학습자들이 국민의례를 준비하고 있다.

정근식 교육감은 격려사에서 “배움에 대한 뜨거운 열정으로 오늘 학위를 받은 분들은 아직도 기회를 받지 못한 분들에게 도전과 희망의 본보기가 된다”면서 “세상을 더 넓게 바라볼 수 있는 힘을 가질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지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축사에 나선 박상혁 위원장(서울특별시의회 교육위원회)은 “가정과 자식을 위해 배움의 기회를 놓친 분들이 어려운 과정을 용기 있게 겪어내셨으니, 이제 손자 손녀에게 책 읽어주는 기쁨을 마음껏 누리시길 바란다”고 전하며 무대 위에서 객석의 만학도에게 큰절을 올려 박수를 받았다.

올해 졸업생 중 최고령인 93세의 김옥순(늘푸름학교) 학습자는 답사를 통해 “나이는 걸림돌이 되지 않는다. 용기를 내는 게 중요하다”고 3년간의 소회를 밝혔다.

뇌병변과 언어장애를 가진 김홍자(56세, 누리평생교육원) 학습자는 중증장애를 딛고 성실하게 학업을 이어가 모범학생상을 받았다.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지 5년 만에 4살 아들의 교육을 위해 초등학력을 취득한 네팔 출신의 결혼이주여성 세르파 낭디키(30세, 이주민학교) 학습자가 자작시 「초보 엄마 탈출!」을 낭송해 문해학습의 감동을 더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1학년도부터 운영한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2024학년도까지 8,74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5학년도에는 1,900여 학습자를 대상으로 69개 기관에서 초등·중학 과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 2월12일, 한국여생생활연구원 학습자들이 학력인정 문해교육 졸업식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서울 중구 명동에서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한국여성생활연구원(교장 정찬남)은 이날 졸업식에서 초등 10명, 중학 9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1978년 설립된 한국여성생활연구원은 초기부터 정규 학교 교육 기회를 놓친 성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과 문해교육, 여성교육 등의 맞춤형 학력 취득 기회를 제공해 오고 있다.

한국여성생활연구원은 3월 6일(목)부터 운영하는 2025학년도 학력인정 문해교육 프로그램에서 공부할 18세 이상 성인 비문해 학습자를 모집하고 있다. 교육문의: ☎ 02-727-2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