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8년 6월 15일(음력) 궁예를 축출하고 철원 포정전(布政殿)에서 제왕의 자리에 오른 왕건은 옛 고구려를 잇는다는 의미에서 국호를 고려라 하고 연호를 천수(天授)로 정하였다. 이듬해인 919년 도읍을 송악으로 옮기고 송악산 남쪽 기슭에 정궁 만월대(滿月臺)를 창건하였다.
궁 안에 있던 여러 대(臺) 가운데 하나였던 만월대는 후에 궁궐 전체를 가리키게 됐다. 1011년(현종 2년) 거란의 2차 침입, 1126년(인종 4년) 이자겸 및 척준경의 난, 1171년(명종 1년) 화재, 1225년(고종 12년) 화재로 소실과 중건을 반복해오다가 1362년(공민왕 11년) 홍건적의 난으로 현재는 돌계단과 주춧돌만 남아있다.
2016년 북한의 핵실험으로 중단되기까지 2007년부터 남북 학자들이 7차례에 걸쳐 공동발굴한 개성만월대 터와 유물을 고려 건국 1100년을 기념해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지난 2월 평창 전시를 이은 순회 전시 성격이다.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수막새와 그릇 등의 유물을 3D 프린팅으로 출력해놓았다. 정면9칸, 측면4칸의 맞배지붕으로 추정되는 정전 회경전(會慶殿)의 웅장한 모습은 3차원 홀로그램으로 가늠해볼 수 있다.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은 18세기 문인화가 표암 강세황(1713~1791)이 1757년(영조 33년) 개성유수 오수채의 초청으로 송도를 유람할 때 선물로 그려주어 해주오씨 집안에서 전해져 왔던 화첩이다.
유람 순으로 그려나간 화첩의 첫 그림은 <송도전경>이다. 하단에 남대문을 두고 그 뒤로 쭉뻗은 대로 좌우로 초가집이 늘어서고 그 뒤에 기와집이 들어서있는 초점투시법 구도로 현장감을 살렸다. 중·상단부에 자리한 것은 물론 송악산이다.
고려의 유신 원천석이 나라의 흥망에 따른 무상감을 시각적·청각적으로 형상화한 ‘회고가’가 떠오른다. “흥망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도 추초(秋草)ㅣ로다 / 오백 년 왕업이 목적(木笛)에 부쳐시니 /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1928년 왕평 작사, 전수린 작곡, 이애리수 노래 <황성옛터>(荒城의 跡)는 조선총독부의 금지에도 5만장이 팔려나간 히트곡이었다. “황성 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月色)만 고요해 / 폐허의 설운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이뤄 / 구슬픈 벌레 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4월 27일 어제 남북의 정상이 두 손을 꼭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나드는 장면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남북간 학술교류도 3년 만에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언젠가 고도(古都) 개성에 돌아들어 만월대 터를 둘러볼 날이 올 수 있기를…
궁 안에 있던 여러 대(臺) 가운데 하나였던 만월대는 후에 궁궐 전체를 가리키게 됐다. 1011년(현종 2년) 거란의 2차 침입, 1126년(인종 4년) 이자겸 및 척준경의 난, 1171년(명종 1년) 화재, 1225년(고종 12년) 화재로 소실과 중건을 반복해오다가 1362년(공민왕 11년) 홍건적의 난으로 현재는 돌계단과 주춧돌만 남아있다.
2016년 북한의 핵실험으로 중단되기까지 2007년부터 남북 학자들이 7차례에 걸쳐 공동발굴한 개성만월대 터와 유물을 고려 건국 1100년을 기념해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지난 2월 평창 전시를 이은 순회 전시 성격이다.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수막새와 그릇 등의 유물을 3D 프린팅으로 출력해놓았다. 정면9칸, 측면4칸의 맞배지붕으로 추정되는 정전 회경전(會慶殿)의 웅장한 모습은 3차원 홀로그램으로 가늠해볼 수 있다.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은 18세기 문인화가 표암 강세황(1713~1791)이 1757년(영조 33년) 개성유수 오수채의 초청으로 송도를 유람할 때 선물로 그려주어 해주오씨 집안에서 전해져 왔던 화첩이다.
유람 순으로 그려나간 화첩의 첫 그림은 <송도전경>이다. 하단에 남대문을 두고 그 뒤로 쭉뻗은 대로 좌우로 초가집이 늘어서고 그 뒤에 기와집이 들어서있는 초점투시법 구도로 현장감을 살렸다. 중·상단부에 자리한 것은 물론 송악산이다.
고려의 유신 원천석이 나라의 흥망에 따른 무상감을 시각적·청각적으로 형상화한 ‘회고가’가 떠오른다. “흥망이 유수(有數)하니 만월대도 추초(秋草)ㅣ로다 / 오백 년 왕업이 목적(木笛)에 부쳐시니 / 석양에 지나는 객(客)이 눈물겨워 하노라”
1928년 왕평 작사, 전수린 작곡, 이애리수 노래 <황성옛터>(荒城의 跡)는 조선총독부의 금지에도 5만장이 팔려나간 히트곡이었다. “황성 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月色)만 고요해 / 폐허의 설운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이뤄 / 구슬픈 벌레 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4월 27일 어제 남북의 정상이 두 손을 꼭 잡고 군사분계선을 넘나드는 장면은 정말 감동적이었다.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남북간 학술교류도 3년 만에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언젠가 고도(古都) 개성에 돌아들어 만월대 터를 둘러볼 날이 올 수 있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