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동(三陽洞)은 삼각산의 남쪽 양지라는 뜻일 터. 도로명주소가 사용되면서 ‘솔샘로’로 변경되었는데, 소나무가 무성한 삼각산의 물 맑은 샘이라는 ‘솔샘’의 이름이 예쁘다. 성북생태체험관 인근에 솔샘 발원지가 있다고 한다.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의 5개 선교본당 중 가장 오래된 곳이 삼양동 선교본당이다.
4호선 미아사거리역 5번출구나 2번출구로 나와 중앙차로정류장(09012)에서 삼양동사거리입구 방향의 1165 지선버스를 타고 SK아파트입구 정류소(09222)에서 하차하면 된다. 솔샘문화정보도서관으로 향하는 경사로를 따라 걷다보면 오른편에 비슷비슷한 계단골목이 많은데, 잘못 진입했다가는 복잡한 이면도로에서 헤메기 십상이다. 강북소방서 맞은편 몽달하우스와 북한산슈퍼 사이의 가파른 계단길로 올라가야 한번에 솔샘공동체 삼양동선교본당에 닿을 수 있다. 오는 7월 우이신설 경전철이 개통되면 조금 더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다.
봉제협동조합인 솔샘일터의 제23차 정기총회 감사미사는 일반 가정집 2층에 자리잡은 삼양동선교본당의 아늑한 방에서 이강서·나승구 신부님이 집전해 주셨다. 번듯한 성전도 사제관도 없기에 초대교회의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정신에 잘 부합하는 느낌이다.
솔샘일터는 1991년 9월 강북구 미아1동에 솔샘공동체가 자리잡고, 93년 10월에 이기우 신부님을 비롯 여성 3인의 출자로 조합이 구성된 후 94년 4월에 명례방협동조합의 지원을 받아 사제복·수녀복·전례복과 수의 등을 만드는 전문 생산협동조합으로 성장해 왔다. 2014년 프란치스코 교종의 방한 때에는 장백의(長白衣)를 만들어 봉헌하기도 했다.
최근엔 어려운 경제상황의 여파로 영업 부문에서의 한계도 드러난 만큼 보다 실질적인 솔루션도 요구된다. 또한 명례방협동조합에서도 생산공동체와의 연대 방안을 좀 더 모색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제반상황이 그리 녹록치 않다.
서울대교구 빈민사목위원회의 5개 선교본당 중 가장 오래된 곳이 삼양동 선교본당이다.
4호선 미아사거리역 5번출구나 2번출구로 나와 중앙차로정류장(09012)에서 삼양동사거리입구 방향의 1165 지선버스를 타고 SK아파트입구 정류소(09222)에서 하차하면 된다. 솔샘문화정보도서관으로 향하는 경사로를 따라 걷다보면 오른편에 비슷비슷한 계단골목이 많은데, 잘못 진입했다가는 복잡한 이면도로에서 헤메기 십상이다. 강북소방서 맞은편 몽달하우스와 북한산슈퍼 사이의 가파른 계단길로 올라가야 한번에 솔샘공동체 삼양동선교본당에 닿을 수 있다. 오는 7월 우이신설 경전철이 개통되면 조금 더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다.
봉제협동조합인 솔샘일터의 제23차 정기총회 감사미사는 일반 가정집 2층에 자리잡은 삼양동선교본당의 아늑한 방에서 이강서·나승구 신부님이 집전해 주셨다. 번듯한 성전도 사제관도 없기에 초대교회의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 정신에 잘 부합하는 느낌이다.
솔샘일터는 1991년 9월 강북구 미아1동에 솔샘공동체가 자리잡고, 93년 10월에 이기우 신부님을 비롯 여성 3인의 출자로 조합이 구성된 후 94년 4월에 명례방협동조합의 지원을 받아 사제복·수녀복·전례복과 수의 등을 만드는 전문 생산협동조합으로 성장해 왔다. 2014년 프란치스코 교종의 방한 때에는 장백의(長白衣)를 만들어 봉헌하기도 했다.
최근엔 어려운 경제상황의 여파로 영업 부문에서의 한계도 드러난 만큼 보다 실질적인 솔루션도 요구된다. 또한 명례방협동조합에서도 생산공동체와의 연대 방안을 좀 더 모색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제반상황이 그리 녹록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