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학년도 6월 고1 전국연합학력평가 국어 영역 12번 문제를 살펴보자.
설사 ① ‘새해’가 파생어인지 합성어인지 헷갈리더라도 국어에 감이 있는 중학생이라면 어렵지 않게 정답을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②, ③, ④, ⑤가 쉽게 판명되기 때문이다. ② ‘밤낮’은 명사 어근 ‘밤’과 명사 어근 ‘낮’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③ ‘구경꾼’은 명사 어근 ‘구경’과 접사 ‘-꾼’이 결합한 파생어이다. ④ ‘이슬비’는 명사 어근 ‘이슬’과 명사 어근 ‘비’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⑤ ‘민들레’는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어이다.
<보기>에서 어근은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이고, 접사는 어근에 붙어서 그 의미를 제한하며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주변 부분이라고 하였다.
‘새해’에서 ‘새'는 관형사, ‘해’는 명사로 각각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이다. 따라서 ‘새해'는 관형사 어근과 명사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참고로 ‘해돋이’의 경우엔 다소 짜임이 복잡하다.
[해 + (돋- + -이)]로 분석하면 합성어, [(해 + 돋-)] + -이]로 분석하면 파생어로 분류된다. 현행 고등학교 문법에서는 후자로 보아 파생어로 보는 것이 주류 시각이다.
해넘이 : 해가 막 넘어가는 때. 일몰(日沒). sunset → [해너미] 연음법칙
해돋이 : 해가 막 솟아오르는 때. 일출(日出). sunrise → [해도지] 구개음화
해맞이 : 해가 뜨는 것을 구경하거나 맞이하는 일. 새로 한 해를 맞이함(신년맞이) → [해마지] 연음법칙
설사 ① ‘새해’가 파생어인지 합성어인지 헷갈리더라도 국어에 감이 있는 중학생이라면 어렵지 않게 정답을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②, ③, ④, ⑤가 쉽게 판명되기 때문이다. ② ‘밤낮’은 명사 어근 ‘밤’과 명사 어근 ‘낮’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③ ‘구경꾼’은 명사 어근 ‘구경’과 접사 ‘-꾼’이 결합한 파생어이다. ④ ‘이슬비’는 명사 어근 ‘이슬’과 명사 어근 ‘비’가 결합한 합성어이다. ⑤ ‘민들레’는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어이다.
<보기>에서 어근은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이고, 접사는 어근에 붙어서 그 의미를 제한하며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주변 부분이라고 하였다.
‘새해’에서 ‘새'는 관형사, ‘해’는 명사로 각각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어근이다. 따라서 ‘새해'는 관형사 어근과 명사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참고로 ‘해돋이’의 경우엔 다소 짜임이 복잡하다.
[해 + (돋- + -이)]로 분석하면 합성어, [(해 + 돋-)] + -이]로 분석하면 파생어로 분류된다. 현행 고등학교 문법에서는 후자로 보아 파생어로 보는 것이 주류 시각이다.
해넘이 : 해가 막 넘어가는 때. 일몰(日沒). sunset → [해너미] 연음법칙
해돋이 : 해가 막 솟아오르는 때. 일출(日出). sunrise → [해도지] 구개음화
해맞이 : 해가 뜨는 것을 구경하거나 맞이하는 일. 새로 한 해를 맞이함(신년맞이) → [해마지] 연음법칙